> 파일 형식은 각 컴퓨터 프로그램만의 고유한 방식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두 자신만의 고유한 파일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글은 .hwp, 파워포인트는 .ppt 이며 이미지파일은 .jpg, png, gif 등 고유의 파일형식(확장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을 만든 회사에서 자신만의 시스템이나 표준화를 통해 정해진 것입니다.
포토샵에서도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고 저장을 하게 되면 포토샵만의 파일 형식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위키백과에서는 파일 형식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파일 형식은 저장을 목적으로 정보를 컴퓨터 파일로 인코딩하는 특별한 방식이다. 파일 포맷(file format)이라고도 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곧 어떠한 컴퓨터 기억 장치라도 비트로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는 0과 1, 그리고 그와 반대로 정보를 변환하는 방법이 필요했다. 이것들은 형식이 서로 다르고 정보도 다르다. 워드 프로세서 문서와 같은 어떠한 파일 형식 안에 보통 몇 가지 다른 형식들이 주어질 것이다. 이러한 형식들은 가끔 다른 형식들과 서로 충돌하기도 한다"
이처럼 각각의 프로그램만의 고유한 형식을 만들어서 사용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어떤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만들면, 대부분 원래 만든 프로그램에서만 열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토샵에서 만든 파일은 아래한글이나 MS워드, 파워포인트 등과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열수가 없습니다.
다만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파일, 특히 이미지파일은 문서프로그램 또는 HTML언어를 사용하는 웹사이트에서도 열고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기준으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JPG파일은 범용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이며 웬만한 프로그램에서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 포토샵의 파일 형식은 PSD

포토샵에서 만들어진 파일은 PSD파일로 저장이 됩니다.
이것은 포토샵만의 파일 포맷으로 PSD파일은 모든 레이어가 그대로 살아있어, 이후 수정할 일이 생기는 경우 쉽게 수정이 가능합니다(레이어에 관한 내용은 레이어 설명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designattack.tistory.com/6).
가끔 포토샵에서 작업을 한 후 PSD파일로 저장을 하지 않고 바로 jpg로만 저장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되면 포토샵파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나중에 수정이 필요할 경우 난감해집니다(물론 아주 복잡한 작업이 아니면 수정은 가능하지만 꽤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디자인 작업을 하면서 또는 작업을 한 후 반드시 포토샵 파일포맷인 PSD로 저장을 하고, 이후에 jpg 또는 png 등으로 변환해서 사용하면 됩니다(일러스트레이터는 고유 포맷인 ai로, 인디자인은 indd로 저장됩니다).
참고로 이미지파일도 용도에 따라서 파일 형식이 달라지는데요.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이미지파일 형식은 jpg입니다. 다만 투명도가 있는(이미지중에서 오브제만 남기고 다른 부분은 제거된) 이미지는 반드시 png파일로 저장을 해야 투명도가 살아있습니다. 이를 jpg로 저장하면 배경이 흰색으로 채워져서 다시 제거를 해야 하는 허무함(?)에 시달리게 됩니다. 그리고 움짤이라고 하죠. 움직이는 이미지파일은 반드시 gif로 저장해야 움직임이 살아납니다. 이 역시 그냥 jpg로 저장하면 멈춰진 이미지만 보입니다.
각 프로그램만이 가지고 있는 파일 형식에 대해 사전에 알고 작업을 한다면 작업한 결과물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으며, 추후 수정에 관한 이슈가 생길 때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니 반드시 파일 형식에 관해 숙지하고 작업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포토샵 튜토리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샵의 화면구성(인터페이스) 알아보기 (2) | 2023.12.21 |
---|---|
포토샵의 시작 - 새 파일과 열기 & 저장하기 (0) | 2023.12.13 |
자주 사용하는 폰트와 폰트 설치방법 (0) | 2023.11.07 |
무료 소스를 활용하세요! (2) | 2023.11.04 |
저작권 꼭 알고 이용하세요~ (2) | 2023.11.01 |